car1.jpg


자동차의 정의

자동차란 차체에 설치된 엔진(원동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도로등에서 자유롭게 주행 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합니다. 그러나 레일(Rail)이나 가선을 이용하는 것은 자동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http://bamway.cafe24.com/img/car2.png

자동차의 기본 구조
자동차의 기본구조는 크게 섀시(chassis)와 보디(body) 두부분으로 나눕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승용차와 버스에서 섀시와 보디를 구분하지 않는 일체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트럭이나 오픈카 등에는 섀시와 보디가 분리되는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섀시 (Chassis)

섀시란 그자체가 자동차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을 말하며, 몇 개의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원동기 분야 자동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으로, 기관의 본체와 여기에 부착된 몇 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관, 냉각장치, 유활장치, 흡배기장치, 연료 장치, 점화장치 등이 있습니다.

(2)동력전달 분야 기관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까지 전달하는 장치이며, 클러치, 변속기, 구동축,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액슬축, 구동바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주행 분야 자동차가 노면을 따라 주행할 때 저항을 줄여 되도록 효율이 좋게 차량을 운동시켜 차량의 안정 성 및 승차감을 좋게 하며, 동시에 기관에서의 동력을 유효하게 추진력 으로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며, 차륜, 차축, 현가장치등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4)조향 분야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바꾸게 하는 장치이며, 조향 핸들, 조향기어상자. 피드먼 암, 드래그 링크, 타이로드, 조향너클등으로 구성됩니다.
(5)제동 장치 분야 주행 중인 자동차의 감속, 정지 그리고 정지 중인 자동차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발 로 조작하는 foot brake와 손으로 조작하는 hand brake가 있습니다.
(6)전기 장치 분야 전기장치 계통은 자동차가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필요로하는 전기장착의 시스 템으로, 발전 기와 축전지로 구성된 전원부와 각종 스위치나 계전기,미터기. 퓨즈 등 을 포함하는 전기회로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디 (Body)

자동차의 겉껍질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며, 프레임이나 현가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입니다.

(1)프레임 프레임은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고 주행 중의 차체하중, 각종 반력 등을 받아 지탱하 는 빔으로서의 구실을 하는 것이어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필요로 합니다. 보통 프레임 보통 프레임은 2개의 세로멤버와 몇 개의 가로멤버를 조합한 것입니다. 특수 프레임 특수 프레임은 가볍게 하고 또 차량의 중심을 낮게 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으로 백본형, 플랫폼형, 트러스형 등이 있습니다.


http://bamway.cafe24.com/img/car4.jpg

자동차의 분류

자동차의 제원
자동차의 구입시 보통의 사람들은 주위의 충고를 많이 듣고 그다음으로 자동차회사 의 카달로그 를 참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주위의 사람들로 부터 받은 충고는 자기 자신의 경험에 비추워 추천하는 경우가 많아 주관적인 경향을 버릴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객관적인 자동차의 선택법중의 하나가 바로 자동차회사 카달로그의 제원표에 의해 차의 특성을 아는 것이 보다 객관적일수 있을 것 입니다. 제원표란 사람으로 치면 신상 명세서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자동차의 대체적인 특징을 그 안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러면 자동차 제원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차량의 차고 또는 높이는 자동차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우선 높이가 높으면 실내의 공간과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자동차의 무게 중심이 높아지므로 주행 시 낮은 차보다 안정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의 스포츠카는 차체가 낮은 것이 특색입니다.

(2)축거 또는 휠베이스 보통 축거라기 보다는 휠베이스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휠베이스란 앞바퀴와 뒷바퀴 간의 거리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앞 뒤 바퀴의 거리가 길면 차량의 승차감은 향상됩니다. 길이가 긴 시소가 움직이는 양이 작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휠베이스가 길면 과속 방지력과 같은 돌기물을 넘을 때 발생하는 차체의 흔들림이 상대적으로 덜하게 됩니다. 반면에 휠베이스가 길면 자동차의 방향전환을 할 때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민첩성도 떨어집니다.

(3)윤거 혹은 트레드 이것은 좌우 바퀴간의 거리를 말하는데 좌우측 바퀴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동차가 움직일 때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발을 접게 벌리고 선것보다 넓게 벌리고 서 면 안정감이 있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좌우측으로의 쏠림이 심한 커브길에서 트레드가 넓은 경우에는 보다 안정감 있게 차량의 자세가 유지됩니다.

(4)최저 지상고 이것은 보통 외관도에 나타난 수치를 보고 알수 있는데, 바퀴를 제외한 차량에서 가 장 낮은 부 분과 지면 사이의 거리 즉 높이를 말합니다. 최저 지상고가 낮으면 차의 무게 중심이 낮아져 주행 안정성은 좋지만 노면이 불규칙한 길, 특히 비표장 도로를 달리는 경우에 차체의 하단부가 상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경우가 많은 지프형 승용차들은 최저 지상고가 일반 승용차 에 비해 높게 만들어 집니다.

(5)연비 보통의 사람들이 가장 먼저 따지는 것이 바로 이 연비일 것 입니다. 연비란 1ℓ의 연료 를 가지고 얼마만큼의 거리를 가는가를 말하는 것 입니다. 화물차 및 버스 등에는 정지 연비가, 승용차에는 시가 지주행 연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지연비는 시속 60㎞로 포장도로를 달리는 상황에서 연료 1ℓ로 얼마를 가느냐로 산출합니다. 시가지 주행연비는 여러 가지 상황을 설정해 계산해 냅니다. 도심에서 차량이 운행할 때 발생하는 몇가지 상황, 이를테면 정지 출발 가속 감속 서행 등을 일정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이에 따라 우행하였을 경우 연료 1ℓ당 주행하는 평균거리를 말합니다. 보통 자동차에도 가전제품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등급제표가 붙어있어 그것을 활용해도 좋을 것 입니다.

 (6)최고속도도 점차 스포츠,레저용의 차동차들이 각광을 받으면서 자동차의 속도도 무시할수 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최고속도란 자동차가 평탄한 도로에서 꾸준하게 주행할 수 있는 최고 속도입니다. 내리막길에서 자동차가 탄력을 받으며 일시적으로 나타내는 속도는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7)최대출력 엔진에 가장 큰 부하를 걸었을때 나오는 최대의 힘을 말합니다. 엔진 성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용어로서 마력 / rpm을 단위로 사용합니다. 마력의 크기가 클수록 힘이 센 엔진입니다.

http://bamway.cafe24.com/img/car6.jpg

http://bamway.cafe24.com/img/car5.jpg




XE Login